본문 바로가기
국가자격증

조경기사 응시자격 고졸, 비전공자가 준비하는 방법

by 궁리정심 2021. 5. 21.

 

안녕하세요.

교육부 정식인가 교육원 소속

학습멘토 시경쌤입니다.

 

조경기사는 생활공간을

아름답게 조성하고, 자연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고자

제정한 국가기술자격증입니다.

 

조경기사는 도시계획과 토지이용 등을

고려해 조경설계도면을 작성하고, 조경공사

시공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일을 합니다.

 

조경기사는 국가기술자격증으로

전문적인 지식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조경기사 응시자격에는

경력 및 학력의 제한이 있습니다.

 

오늘은 조경기사 응시자격을

누구나 쉽게 준비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다들 참고하셔서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조경기사 응시자격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조경기사 응시자격은

여러 방법으로 갖출 수 있습니다.

 

1) 동일(유사)분야 기사

2) 관련학과 4년제 대학졸업(예정)자

3)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4)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5) 순수 실무경력 4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조경기사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습니다.

 

조경기사 응시자격은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조경기사 응시자격에서

수 년의 학력과 경력을 요구하는데요.

 

관련전공 4년제 대학을 나오거나

산업기사, 기능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수 년의 실무경력을 쌓아야 하는 등

 

조경기사 응시자격을

갖추는 것 조차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경력이 없는

고졸이나 비전공자 분들은

조경기사 응시자격을 갖추기 위해

 

사이버대학이나, 야간대학교 등에서

학위를 취득하게 되는데요.

 

하지만 조경기사 응시자격을

경력, 학력 없이 갖출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학력, 경력 없이 단기간에

조경기사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는 방법은

바로 학점은행제 106학점 이수입니다.

 

그럼 학점은행제가 어떤 제도인지

설명과 함께 106학점을 이수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학점은행제는 교육부에서 주관하는

국가평생교육제도로

 

여러 학점이수 방법을 통해

일정 학점을 이수해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원래 4년제 학사학위를 취득하기 위해서

학점은행제로 140학점을 이수해야 하지만

 

106학점만 이수해

4년제 대학졸업예정자가 되어

조경기사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습니다.

 

 

온라인수업만으로

106학점을 이수하기 위해선

원래 2년 6개월의 기간이 걸리지만

 

전적대, 독학사, 자격증 취득을

온라인수업과 병행하여

 

보다 단기간에 조경기사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습니다.

 

또한 중퇴자나 전문대졸자는

이전 대학에서 이수한

학점을 다시 활용할 수 있으며

 

비전공자 분들의 경우

타전공 과정으로 48학점만 이수해

 

관련전공 4년제 학위를

복수전공으로 취득할 수 있습니다.

 

 

조경기사 응시자격을

학점은행제로 준비할 때

 

효율적으로 준비하기 위해서는

독학사, 자격증을 활용한

적절한 학습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하지만 학습플랜을 계획하기 위해서는

학점은행제에 대해 정확한 이해가

필요로 하기 때문에

 

학습플랜을 계획할 때는

교육원소속의 학습멘토에게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학습멘토는 학점은행제를 진행하는

학습자 분들에게 효율적인

학점 이수를 위한 학습계획서를 제공해 드리고

 

과정을 잘 끝낼 수 있게

1:1로 상담을 도와드리면서

과제 참고자료를 보내드리는 등

 

학습자 분들을 위한

길잡이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불법 교육원이나

대행업체의 플래너가 아닌

 

교육부 정식인가를 받은

교육원 소속의 멘토들은

 

별도의 비용을 받지 않고 무상으로

상담 및 관리를 도와드리고 있으니

 

부담을 느끼실 필요 없이

하단에 네임카드를 클릭/참고하여

상담을 받아보시면 되겠습니다.

 

 

이상으로 조경기사 응시자격

보다 쉽게 갖추는 방법에 대하여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